이터러블을 사용했을때 순회에 대해 방법이 통일되기 때문에 성능이 올라갔다고 알고 있다.
이터러블 프로그래밍은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을 통해서만 순회를 진행하지 않고 이터러블을 이용하여 순회를 한다는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는 것 같다.
이터러블을 이용하면 좋은 점? → spread 연산자, for..of 문, 구조 분해 할당을 이용 가능하게 해준다.
그전에 까먹어서 Well-formed iterable을 소개한다.
Well-formed iterable은 쉽게 그냥 generator다.
iterable 이면서 iterator인 객체를 생각하면된다.
장점은 자기 자신의 상태를 기억하고 이를 통해서 조작을 더 유연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무한을 순회한다 했을때 well formed iterable 같은 경우 중간에 동작을 멈추고 멈춘 시점의 상태를 반환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프로그래밍 에서 느긋한 계산은 계산의 결과 ㄱ밧이 필요할 때까지 계산을 늦추는 방법이다.
위에서 말한 무한을 순회하는 예제는 지연평가 장점에 가깝다.
유인동 강의에서 제너레이터로 순회를 조작하는데 이때 무한도 가능하다. 좋은점은 무한을 순회 한다는 점이아니라.